체중을 줄이고 또 유지하려면 육류나 콩은 늘리되 빵이나 감자 같은 탄수화물을 줄인 고단백 저탄수화물 식이를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뉴잉글랜드 의학저널(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최신호와 미국 의학뉴스 웹진 헬스데이 뉴스를 통해 24일 발표됐다.
덴마크 코펜하겐대학 영양학 연구진은 앞서 2개월간 저지방 식이요법으로 평균 11㎏을 감량한 773명의 과체중 또는 비만 성인을 5개 집단으로 나누고 집단마다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구성을 달리한 5가지 식단 중 하나를 6개월간 가정에서 스스로 시행하도록 했다. 4개 집단은 각각 정해진 단백질/탄수화물 구성으로 된 식단을 먹도록 하고 나머지 한 집단은 보통의 단백질 함량을 유지하되 탄수화물 비율은 통제하지 않았다. 그리고 5개 집단 모두 음식을 먹는 시간이나 횟수, 양에는 제한을 두지 않았다.
6개월 후 체중을 분석한 결과 저단백 고탄수화물 식단 그룹의 체중 증가량은 평균 2㎏으로 가장 높은 반면 고단백 저탄수화물 집단은 오히려 체중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반적으로 예상보다 많은 참가자가 식이요법을 중도에 포기했지만 고단백 집단의 경우 중단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구에 참가한 코펜하겐대학 아르네 아스트럽 교수는 "고단백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에게는 적게 먹어야 한다고 말하지 않아도 되고 다이어트를 하는 본인도 열량이나 섭취량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며 "이는 체중감량을 하는 사람에게는 매우 좋은 점"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고 혈당지수가 낮은 식사를 하는 것이 배고픔을 덜 느끼게 하고 보다 활동적으로 사람을 만들어 어렵게 뺀 살이 다시 찌지 않게 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