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상담실


Home의료상담실

절대 다시 오지 말아야 할 것, 요요 현상
fjrigjwwe9r3edt_lecture:conts
Untitled Document
 
잘못된 식습관이 부르고 또 부르는 요요 현상

어렸을 때 가지고 놀던 "요요"라는 장난감을 기억하시나요? 요요 장난감은 실의 반동에 의해서 멀리까지 갔던 요요가 다시 돌아오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인데, 다이어트에서 말하는 요요 현상도 같은 의미입니다. 빠졌던 살이 다시 찌게 되는 것을 빗대어 말한 것입니다.

요요 현상이란 다이어트로 단기간에 많은 체중을 감량한 후 다시 원래 체중으로 빠르게 복귀하거나, 오히려 그 이상으로 살이 찌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요요 현상은 원푸드 다이어트나 굶기만 하는 다이어트 등 잘못된 식습관에서 비롯됩니다.

비상사태를 위해 고이 쌓아두는 지방질

그렇다면 지방은 대체 왜 생긴 것일까요? 원래 인간도 다른 동물들처럼 털이 많았습니다. 진화의 과정에서 털은 점점 사라지고, 털 대신에 피하 지방이 피부와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 것입니다. 특히나 지방은 같은 양을 먹어도 탄수화물이나 단백질에 비해 2배가 넘는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고급 에너지원입니다. 그러므로 몸은 만일의 사태를 대비하여 몸을 보호하기 위해 일정량의 지방을 축적해 두고 싶어합니다.

그 뿐 아니라 항상 유지하고 있던 지방의 비율이 감소하면, 그 감소된 비율을 줄이기 위해 몸의 에너지를 안 쓰려고 노력함으로써, 기초대사량이 감소합니다. 기초대사량은 살을 빼기 꼭 늘려야 할 소비자인데, 체중의 감소가 있으면 우리 몸은 방어적으로 기초대사량을 줄여서 살과 지방을 축적하려 합니다.

가장 나중에 쓰이고, 제일 먼저 쌓이는 지방

응용해서 생각해 보면, 원푸드 다이어트나 단식이 지방 축적량을 늘릴 뿐이라는 놀라운 사실도 알 수 있습니다. 단식으로 굶기 시작하면 포도당-단백질-지방 순으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어느 정도 살이 빠져서 굶기를 그만두면, 그때부터 먹는 음식 중 지방을 먼저 채우고 나머지도 지방으로 바꾸고 싶어 하는 것입니다. 또, 다이어트 중간에 기초대사 량이 감소되어, 그 이후 음식을 먹게 되면 더 많이 살찌는 요인이 되고 맙니다.

늘려야 할 것은 금식 기간이 아닌 근육과 기초대사량

그러므로, 살을 빼기 위해서 무작정 굶기 보다는 우리 몸이 진짜 필요한 에너지를 늘려주어야 합니다. 요즘 들어 남녀를 막론하고 다이어트를 할 때 근육을 만드는 이유가 바로 그것입니다. 근육은 우리 몸의 에너지를 소비해 주는 고마운 소비자입니다. 단순히 쌓인 지방을 억지로 쓰게 하는 것이 아니라, 정말 에너지원이 필요하기에 소비하게끔 만들어 줍니다.

살을 뺀다는 것의 궁극적인 의미는, 한 시점에 날씬한 사람이 되고 싶어 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날씬한 사람이고 싶은 욕구입니다. 반복되는 요요 현상 때문에 그 동안 힘드셨다면, 새해에는 운동 계획을 세워 보시는 것이 어떨까요?

이전글 : 황사 마스크가 필요한 이유
다음글 : 청년기 남성이 자주 코피를 쏟는다면..